
“나도 주는 줄 알았죠”
솔직히 저도 처음엔
그냥 전 국민한테 다 주는 줄 알았어요.
‘민생지원금 25만 원’
뉴스 타이틀만 보면
누구나 받는 줄 알기 딱 좋죠.
근데 막상 자세히 보니까,
1차, 2차 나눠져 있고,
상위 10%는 제외,
사용처도 제한
거기다 건강보험료 기준?
이거 몰랐으면 완전 헛걸음할 뻔했습니다.
정확한 신청일, 금액, 상위 소득 기준
오늘 싹 다 정리해드릴게요.
① 민생지원금, 어떻게 나뉘나요?

이번 민생지원금은
1차 + 2차로 나뉜 구조입니다.
1차는 전 국민 15만 원 소비쿠폰
2차는 조건에 따라
10만 원~35만 원까지 추가 지급됩니다.
중요한 건,
누구는 15만 원 받고 끝이고,
누구는 최대 50만 원까지 받는다는 점!
2차까지 다 받으려면
‘내가 상위 10%인지 아닌지’
정확히 아셔야 해요.
② 상위 10% 기준은 이겁니다
생각보다 많은 분들이
“상위 10%면 월 소득 800 넘는 거 아냐?”
이렇게 오해하시는데요,
실제로는 ‘건강보험료 기준’입니다.
▶ 직장가입자 : 월 27만 3,380원 초과
▶ 지역가입자 : 월 20만 9,970원 초과
요걸 초과하면 2차 추가지원 탈락입니다.
연봉이 높은데도
보험료 줄여낸 분들은
운 좋게(?) 포함될 수도 있어요.
핵심은 보험료 납부액이에요!
③ 신청일은 바로 이때입니다
7월 21일 월요일 오전 9시부터 시작!
그리고 신청 마감은
9월 12일 금요일 18시까지예요.
생각보다 기간이 길지만,
신청 미루면 자칫 놓칠 수 있어요.
신청 방식은 간단합니다 :
-
카드사 홈페이지 or 앱
-
선불카드 or 지류상품권 선택도 가능
지자체마다 배분 방식은 살짝 다르니
지역 홈페이지 확인은 필수!
④ 지급일과 사용기한은?
신청하면 즉시 카드로 충전되거나
선불카드로 배송, 빠르면 3~5일 내 도착합니다.
사용 기한은 11월 30일(일요일)까지
그 이후엔 잔액 소멸, 환급 안 됩니다.
이건 복지포인트 아니에요.
그리고 또 하나 중요한 건,
주소지 내에서만 사용 가능하다는 거예요.
예 : 서울 사는 사람은 서울 내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
대형마트, 백화점, 온라인 쇼핑 등
전부 사용 불가!
⑤ 최대 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요?

-
기초생활수급자 + 농어촌 거주 : 52만 원
-
차상위, 한부모 등 : 40~50만 원
-
소득 하위 90% 일반 국민 : 25만 원
-
상위 10% : 1차 15만 원만 지급
결국 내 건강보험료가 기준이니까
한 번쯤 조회는 꼭 해보셔야 해요.
포인트는 단 하나,
모든 국민이 25만 원 받는 게 아니라는 점.
림쿠노믹스의 생각
이번 민생지원금,
전 국민 지급인 듯하면서
사실상 선별지원에 가까운 구조입니다.
예전 국민지원금보다
복잡해졌지만 정교해진 정책이에요.
제 개인적으로는,
이런 소비쿠폰 방식이
실질적인 체감 효과는 크다고 생각해요.
왜냐면 :
월세에 쓸 수도 없고,
온라인 쇼핑도 안 되니까
진짜 가게에 나가서 써야 하거든요.
결국 동네 가게에서 돈이 돌고,
그게 지역경제 선순환으로 이어집니다.
단, 분명한 건
정보를 아는 자만이 챙길 수 있다는 것.
-
보험료 얼마 내는지 모르겠다?
→ 건강보험공단 앱에서 바로 조회 가능 -
사용처 제한 모르고 썼다?
→ 나중에 낭패
받는 것도 중요하지만
어디서, 언제, 얼마나, 어떻게 써야 하는지도
꼭 알고 챙기시길 바랍니다.
※ 이 글은 정부 정책을 기반으로 작성된 정보성 콘텐츠이며,
개인의 소득·자산·건강보험료 수준에 따라 수령 가능 여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정확한 판단은 ‘민생지원금.kr’ 또는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반드시 확인하세요.
댓글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