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“그냥 냈다가 5만 원 날렸어요”
작년 여름이었어요.
재산세 고지서 날아오자마자
그냥 무심코 계좌이체로 냈습니다.
그런데 나중에 보니
카드 납부하면 캐시백에 포인트에
무이자 할부까지 있다는 거 있죠.
딱히 세금 아끼는 방법도 없는데
그나마 주는 혜택도 놓쳤던 셈이죠.
올해는 절대 안 놓칩니다.
납부 기간부터 카드사 혜택까지
한 방에 정리해드릴게요.
① 납부 기간, 딱 2주입니다

올해 재산세 1차 납부 기간은
7월 16일부터 31일까지, 딱 2주입니다.
주택, 건축물, 선박 등이 대상이고요.
2차 납부는 9월 16일부터 30일까지,
토지 및 주택 2차분이 해당돼요.
7월 31일 넘기면 바로 3% 가산금,
45만 원 이상이면
8월부터 매달 0.66%씩 추가 가산금 발생합니다.
납기일, 잊지 마세요.
세금은 절대 늦게 내면 안 됩니다.
② 납부 방법, 꽤 다양합니다

요즘은 고지서 들고 은행 가는 분 거의 없죠.
이제는 클릭 몇 번이면 끝입니다.
위택스, 이택스
→ 인터넷 납부, 카드·계좌 다 가능
인터넷지로, 가상계좌, 자동이체
→ 따로 설정해두면 자동납부 OK
ATM기, ARS, 직접 방문
→ 오프라인도 여전히 가능은 해요
납부번호만 있으면
진짜 5분이면 처리 끝납니다.
③ 카드 납부, 수수료 없습니다

간혹 “카드로 내면 수수료 나가잖아요?”
이렇게 물으시는데요.
지방세는 카드 수수료 0원입니다.
국세는 조금 붙지만,
재산세 같은 지방세는 수수료 전혀 없습니다.
다만, 은행 ATM에서
다른 은행 카드 쓰면 약 900원 수수료 나올 수 있어요.
그것만 유의하시면 돼요.
④ 카드사별 혜택, 이건 챙기세요

이건 진짜 놓치면 손해입니다.
재산세도 결국 소비니까,
혜택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.
신한카드
→ 신용카드 0.17% 캐시백, 체크카드 0.2% 포인트
국민카드
→ 500P + 경품 응모 기회, 이벤트 잦아요
롯데카드
→ 최대 2% 캐시백 (조건 있음)
BC카드
→ 페이북 납부 시 최대 5만 원 페이백
삼성·현대·우리·농협 등
→ 포인트 적립 + 무이자 할부 다수 지원
결론 : 납부할 카드, 한 번은 비교하고 선택하세요.
⑤ 무이자 할부도 됩니다

“재산세가 무슨 할부야?” 싶지만,
요즘은 세금도 카드 할부가 대세예요.
특히 5개월 무이자 혜택은
국민, 롯데, 우리, 하나, BC카드에서 공통 적용
농협카드는 더 세게 갑니다.
무려 6개월 무이자 할부 제공
10~12개월 장기할부는 부분 무이자 조건이라
13개월 수수료만 부담하면 됩니다.
현금이 딱 막히는 여름철,
할부도 훌륭한 전략입니다.
림쿠노믹스의 생각
재산세는 늘 “받아들여야 하는 지출”이라
우린 그냥 ‘내는 데에만’ 집중하게 됩니다.
하지만 가만히 보면
카드 혜택, 무이자, 포인트
그냥 스쳐 지나가기엔 아까운 기회들이에요.
특히 캐시백이나 페이백은
실질적으로 내 재산세를 할인받는 셈이죠.
가장 현명한 전략은 이겁니다 :
-
혜택 많은 카드 골라서
-
납부기한 딱 맞춰 내고
-
무이자 할부로 자금 흐름 관리하는 것
재산세는 내는 금액보다
어떻게 내느냐가 더 중요합니다.
꼭 올해는
“계좌이체 눌렀다가 후회”
하지 마시길 바라요.
재산세 카드 혜택, 납부 기간, 납부 방법 총정리!
※ 이 글은 재산세 납부를 둘러싼 카드 혜택과 납부 전략을 설명하기 위한 정보성 콘텐츠이며, 모든 세금 납부는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진행하셔야 합니다. 카드 혜택은 변경될 수 있으니 각 카드사 공식 홈페이지에서 최종 확인하세요.
댓글
댓글 쓰기